IEEE 802.9 LAN(Integrated Services LAN)

IEEE 802.9 LAN(Integrated Services LAN), 기존의 단일 데이터 전송 중심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음성(VoIP)과 데이터 트래픽을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표준은 기업 환경에서 전화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및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과 같은 기술과 연계하여 사용되었습니다.

IEEE 802.9의 주요 특징

음성 및 데이터 통합

  •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을 동일한 LAN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됨.
  • 기업 및 기관에서 전화 시스템과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관리 효율성을 향상.

두 가지 트래픽 채널 제공

  • 데이터 채널: 기존 이더넷과 호환되며, 일반적인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함.
  • 음성 채널: 전화 및 음성 통신을 위한 전용 대역폭을 제공하여 음성 품질을 유지.

QoS(서비스 품질) 보장

  • 데이터와 음성을 동시에 처리하는 과정에서, 음성 트래픽이 지연 없이 전송될 수 있도록 QoS(Quality of Service) 기술을 적용.
  • 특정 대역폭을 음성 서비스에 예약하여 데이터 트래픽에 의해 음성이 지연되거나 손실되는 문제 방지.

ISDN 및 ATM 연계 지원

  • ISDN(종합 정보 통신망)과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 전화망과 통합 가능.
  • ATM 기술을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빠른 음성 및 데이터 전송 제공.

IEEE 802.9의 활용 분야

IEEE 802.9 표준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되었습니다.

  • 기업 내부 네트워크: 전화 시스템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비용 절감.
  • 교육 및 연구 기관: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단일 네트워크에서 운영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 공공 기관 및 정부 기관: 음성 및 데이터 통합을 통해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관리 가능.

IEEE 802.9의 단점 및 한계

복잡한 네트워크 인프라 요구

  • 기존의 단순한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보다 설치 및 유지보수가 복잡하며,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할 수 있음.

이더넷 및 VoIP 기술 발전으로 인한 도태

  • 1990년대 후반부터 이더넷(IEEE 802.3) 기반 네트워크와 VoIP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IEEE 802.9의 사용이 점차 줄어듦.
  • 현재는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하는 데 별도의 물리적 인프라 없이도 VoIP 기반 네트워크에서 손쉽게 구현 가능.

비용 대비 효율성 문제

  • 기존 네트워크 환경과의 통합이 어렵고, 추가적인 하드웨어 및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하여 경제성이 낮음.

IEEE 802.9의 역사와 현재

IEEE 802.9 표준은 1990년대 초반 음성 및 데이터 통합 네트워크의 필요성으로 인해 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이더넷과 VoIP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점차 활용도가 줄어들었고, 결국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표준이 되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기업과 기관은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에서 VoIP 기술을 사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IEEE 802.9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졌지만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표준으로 남아 있습니다.

결론

IEEE 802.9는 LAN 환경에서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송하는 기술 표준으로,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하지만 이후 이더넷과 VoIP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그 역할이 축소되었고, 오늘날에는 별도로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EEE 802.9가 제시한 QoS 개념과 음성 데이터 통합 기술은 현재의 네트워크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으며, 현대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표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SC HDLC 차이점

Leave a Comment